본문 바로가기

피부 고민

자외선에 의한 피부 급성 반응(acute response) - 홍반 (erythema) 자외선에 의한 피부 급성 반응(acute response) - 홍반 (erythema) * 정의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된 후 그 반응이 즉시 또는 일주일 이내에 나타나는 급성 반응(acute response)에 속하며, 태양광선의 방사열이 조사된 피부에 생기는 국한성이 홍색의 피부 발적을 말합니다. * 발병 위치 인체 중 주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 (얼굴, 목, 복부, 손 등)에 흔히 발생합니다. * 증상 태양광선의 영향으로 피부가 붉게 변하는 것과 혈관의 확장과 충혈로 혈류량이 증가되어 피가 많이 고이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 발생 원인 태양광선에 노출되고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히스타민(histamine), 세로토닌(serotonine), 인터루킨(interleukin) 등으로 인해.. 더보기
조갑(onyx)의 질환 조갑(onyx)의 질환 * 조갑(onyx)의 정의 표피에서 유래된 것으로 손가락 및 발가락 말단 부위에 붙어 있는 반투명의 단단한 케라틴 판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손톱, 발톱이라고 부릅니다. * 조갑의 특징 - 개인차와 연령차는 있으나 12~18% 정도의 수분을 갖으며 건강한 조갑은 일반적으로 분홍빛을 띠고 탄력과 윤기가 있는 광채띤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 조갑은 반투명하고 단단한 사각형 모양의 판으로 여자의 손톱은 0.5mm 정도, 발톱은 1.4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며 남자는 약간 더 두껍습니다. -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일생 동안 계속 자라며 손톱은 1개월에 3mm, 발톱은 1개월에 1mm 정도의 속도로 자라지만 개인적 차이가 있습니다. - 조갑의 흡습, 건조에 따른 딱딱함의 변화는 모발과 같고.. 더보기
모발의 질환 - 무모증 (atrichia pubis) 모발의 질환 - 무모증 (atrichia pubis) * 정의 눈썹, 겨드랑이, 턱 부위에 모가 없는 경우를 지칭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는 제 2차 성징에 따른 신체적 발육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사춘기가 지나도록 음모가 아예 없는 증상을 말합니다. * 증상 - 눈썹이나 음부 또는 겨드랑이 등에 모발이 거의 없거나 많이 감소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며, 젊은 여성의 경우 나이에 맞지 않게 정상적인 모발의 발달을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발병 원인 - 음부의 모낭에 있는 모유두세포가 사춘기 이후에 분비되는 안드로겐(androgen) 호르몬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되거나 안드로겐의 혈중 농도가 저하되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주로 전신적인 질환이 없이 모계 유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 더보기
모발의 질환 - 백모증 (canities) 모발의 질환 - 백모증 (canities) * 정의 털뿌리(모구)의 멜라닌 세포의 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멜라닌 소체를 만드는 활성도가 저하되면서 모기질과 모피질의 멜라닌이 소실되어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하는 현상입니다. * 발병 위치 및 증상 머리, 눈썹, 수염에서 모의 색상이 하얗게 변하여 백모(grey hair)가 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 발병 원인 - 신체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른 자연스러운 노화의 한 과정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유전적 요인, 고열병, 정신적 쇼크, 약물,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근본적으로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멜라닌 형성 세포)가 사멸되면 영구히 백발이 됩니다. * 특징 - 모든 인종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노화의 과정이지.. 더보기
피지선의 질환 - 비듬 (dandruff) 피지선의 질환 - 비듬 (dandruff) * 정의 두피의 각질층은 정상적으로 한꺼풀씩 서서히 탈락하나 그 양이 비정상적으로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큰 덩어리를 이루며 탈락하는 증상을 통상적으로 비듬이라고 칭합니다. * 증상 임상적으로 염증 없이 두피에서 쌀겨 모양으로 표피 탈락이 발생함으로써 과도하게 인설이 일어나며 흔히 가려움증을 동반합니다. * 발병 원인 - 피지선의 과다 분비, 호르몬의 불균형, 두피 세포의 과다 증식, 피부의 정상 세균 중의 하나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라는 곰팡이의 과다 증식, 스트레스, 환경 오염, 과도한 다이어트, 변비, 위장 장애, 영양 불균형, 샴푸 후 잔여물 등이 비듬의 발생에 관여합니다. * 특징 -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경과를 보이며 지.. 더보기
모발의 질환 - 탈모 (alopecia) 모발의 질환 - 탈모 (alopecia) * 정의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특별한 통증 없이 모발이 빠지는 현상을 탈모라고 하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하루에 약 100개정도 빠지지만 그 이상의 모발이 빠진다면 병적인 탈모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구분 남성형 탈모증, 여성형 탈모증, 원형 탈모증, 기타 탈모증(지루형 탈모증, 휴지기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등)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발병 원인 선천성으로도 후천성으로도 생길 수 있으며 유전,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 출산, 발열, 수술, 스트레스, 혈액 순환 장애, 영양결핍, 질병, 발열, 비듬, 지방질 위주의 식습관, 화학 약품 및 공해 등의 환경요인 등이 원인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 증상 및 특징 - 남성형 탈.. 더보기
피지선의 질환 - 지루성피부염 (seborrheic dermatitis) 피지선의 질환 - 지루성피부염 (seborrheic dermatitis) * 정의 장기간 지속되는 습진의 일종으로, 주로 피지선의 활동이 증가되어 피지 분비가 왕성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입니다. * 구분 * 증상의 정도별 - 경증 : 가벼운 홍반과 각질이 나타나는 증상을 보입니다. - 중등증 : 진물이 나고 각질이 많아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 중증 : 진물이 심해서 딱지 형태의 결가가 있으며 열감 및 부종을 동반합니다. * 경과별 - 급성 : 2~3개월 이내에 급작스럽게 악화되는 경우로 급격한 진행시 증상이 매우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아급성 : 6개월 이상의 아급성 경과는 서서히 피부가 붉어지고 열감이 느껴지다가 악화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 만성 : 1년 이상 지속되는 .. 더보기
한선의 질환 - 땀띠 (miliaria, 한진, 한진성 습진) 한선의 질환 - 땀띠 (miliaria, 한진, 한진성 습진) * 정의 땀이 배출되는 한관(땀관)이나 한관 구멍의 일부가 폐쇠되어 땀이 원활히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결국 한관이 터져 땀이 진피의 위층으로 흘러 나오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구분 폐쇄된 땀관의 위치에 따라 수정 땀띠(miliaria crystallina, 수정양한진), 적색 땀띠(miliaria rubra, 홍색한진), 깊은 땀띠(miliaria profunda, 심재성한진)로 구분합니다. 보통 볼 수 있는 것은 표피에 땀이 괴어서 스며나온 적색 땀띠(miliaria rubra, 홍색한진)로, 그곳에 화농균이 감염하면 농포, 농가진, 한선농양, 화농성한선염을 일으킵니다. - 수정 땀띠(miliaria crystallina,.. 더보기
한선의 질환 - 액취증 (osmidrosis axillae) 한선의 질환 - 액취증 (osmidrosis axillae) * 정의 인체에 존재하는 아포크린 샘과 에크린 샘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땀샘 중, 주로 아포크린 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피부 표면에서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피부에서 악취가 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 구분 - 아포크린 액취증 : 아포크린샘에서 유래된 액취증으로, 주로 액취증은 아포크린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피부 표면에서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악취가 납니다. - 에크린 액취증 : 에크린샘에서 유래된 액취증으로, 에크린 땀샘의 과도한 분비로 인하여 연화된 피부의 각질층에 세균 도는 진균이 작용하여 악취가 발생합니다. * 발병 위치 - 아포크린 액취증 : 대부분 겨드랑이나 음부에 발생합니다. - 에크린 액취증 : 주로 발바닥과.. 더보기
한선의 질환 - 다한증 (hyperhidrosis, 땀과다증) 한선의 질환 - 다한증 (hyperhidrosis, 땀과다증) * 정의 인체의 땀 배출이 체온의 조절에 필요한 범위를 넘어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가리키는 질환입니다. * 구분 1) 발생 원인에 따라 구분 - 일차성 다한증: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다한증으로 주로 사춘기를 전후로 시작되며 자연적으로 소멸되기도 하지만 50~60대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 이차성 다한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같은 질병이나 신체적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한증입니다. 2) 땀 분비에 따라 구분 - 전신성 다한증 :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는 다한증입니다. - 국소성 다한증 : 몸의 일부에 한하여 증상이 나타나는 다한증입니다. * 발병 위치 및 증상 - 전신성 다한증 : 피부의 온도 수용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