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부 고민

과색소침착증(hyperpigmentation) - 기미(melasma, chloasma, 간반)

과색소침착증(hyperpigmentation) - 기미(melasma, chloasma, 간반)

 

* 정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비대칭형의 색소가 침착되어

생기는 후천적인 색소성 피부 질환을 말합니다.

 

* 발생 위치

- 햇볕에 노출이 많은 부위 중 특히 얼굴의 광대뼈

부위나 이마, , 뺨 등에 발생하며 간혹 팔에도 생길

수 있지만 매우 드뭅니다.

 

- 주로 좌우 대칭적으로 뺨과 이마, 눈 밑에

발생합니다.

 

* 증상

불규칙한 모양과 다양한 크기의 연한 갈색 점이나

흑갈색의 점이 피부에 침착되어 나타납니다.

 

* 발생 원인

- 대부분의 경우 근본적인 원인을 잘 알 수는 없으며

유전적 혹은 체질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고

합니다.

 

- 많은 경우 임신, 경구 피임약의 복용 후에 발생하며

그 외에는 과다한 태양광선에 대한 노출로 인한

것이 흔하고, 내분비 이상, 유전인자, 약제(항경련제),

영양 부족, 간기능 이상, 호르몬 작용 등이

악화 인자로 작용합니다.

 

* 특징

- 기미는 흔한 질환으로 남성보다는 여자에서 더

자주 나타나며, 주로 출산기의 여자에서 발생하므로

기미를 임신의 표시(mask of pregnancy)라고도

합니다.

 

- 기미는 멜라닌세포의 수는 뚜렷이 증가하지

않으면서 멜라닌색소의 생성이 증가하므로

멜라닌성 과멜라닌색소증(melanotic hypermelanosis)

이라고도 합니다.

 

- 색소침착의 깊이에 따라 기미의 색깔이

달라지는데 색소침착이 주로 표피에 위치할

경우엔 갈색, 진피에 위치할 경우엔 청회색,

혼합형일 대는 갈회색으로 나타나며 가장

많은 유형은 혼합형입니다.

 

- 태양광선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름에는

악화되며 겨울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 지리적으로는 태양에 노출이 많은 카리브해나

지중해에 접한 나라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인종별로는 아시아인을 비롯하여 중동인,

인도인, 남미인에게 쉽게 관찰됩니다.

 

- 기미는 치료가 어렵고 재발을 완전히 막는

치료가 아직까지는 없으며 대부분의 치료는

일시적인 효과일 뿐 결국 재발하기 때문에

기미를 만성질환(chronic disease)으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 관리법

- 기미를 발생시키는 태양 광선을 피하기 위해

외출 시 자외선차단제를 바르며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 선글라스 등으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최대한 보호합니다.

 

- 비타민 C를 포함한 항산화 비타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혼돈하기 쉬운 기미와 주근깨 구분법

- 기미: 주로 20~30대 이상 여성에게 나타나며

경계가 불분명하고 모양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합니다.

 

- 주근깨: 주로 10대나 20대에 많이 나타나며

경계선이 뚜렷하고 색소가 짙은 편으로 발생합니다.

 

* 출처

- 도서

피부과학(현문사 / 김선미, 송인영, 양미경, 정지숙 공저)

- 인터넷 검색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대한의학회, 대한내과학회

간호학대사전

아이피부과

아트클리닉 대표원장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