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 접촉 습진(Allergic contact dermatitis, 습진성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 정의
알레르기성 메커니즘에 의해 생기는 습진성 병변을
말합니다.
* 증상
- 접촉원에 접촉된 부위 또는 접촉하지 않은 부위에
국한된 붉은 반점이 생기고 약간의 부종이 나타나며
두드러기, 수포, 농포, 미란, 부스럼딱지가 차례로
생깁니다.
- 보통 심한 가려움을 동반하며, 단지 빨갛게 되는
것뿐인 경우 또는 작은 물집이 많이 생기는 경우로
나타납니다.
* 발생 원인
어떤 자극물에 대하여 피부가
감작(어떤 항원을 예민한 상태로 만드는 일)되어
민감해짐으로써 발생합니다.
* 주요 자극물질
- 식물성: 옻나무, 은행, 국화, 앵초 등
- 동물성: 나비, 나방, 양모와 같은 동물의 털 등
- 그 외:
외용 의약품, 화장품, 향료, 퍼머용액, 모발 염색제, 약품류, 농약 등의 화학 제품
휘발유, 고무장갑 등의 고무제품
목걸이 등의 귀금속 및 니켈과 크롬제품
모자 등의 피혁제품 등
* 특징
- 특정 접촉항원에 감작되어 있는 사람이 그
접촉알레르기항원(알레르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키는 물질)에
다시 접촉하였을 경우 생깁니다.
- 접촉 습진은 모든 사람이 아닌 특정 물질에 대해
항체를 가진 사람에게서만 그 물질과 접촉할 경우에
극소량으로도 반응하며, 발생하기 위한 조건으로
접촉원(접촉항원)과 감작과정 그리고 유발과정이
필요합니다.
- 피부가 감작되는 것은 자극물에 항원성이 있기
때문이고 유해물질이 아닌 접촉 습진을 일으키는
특정 접촉물을 접촉원이라고 하며, 접촉원으로
인해 피부가 감작된 뒤에 같은 접촉원이 피부에
재접촉하면 습진성 병변이 발생합니다.
- 접촉원은 분자량이 400 이하인 친지질성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으며, 4,000가지 이상의
접촉 항원이 존재합니다.
- 접촉 습진이 일어나는 알레르기성 체질은
장기간 지속되어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며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예민한 경우 주로
발생합니다.
- 접촉 습진의 증상 중 부스럼 딱지가 생긴 후
떨어지면 인설이 형성되다가 반흔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낫습니다.
- 염증의 정도 차이는 환자 피부의 감작 정도 및
접촉원의 농도, 피부에 대한 접촉시간과 빈도의
차이에 따라 다릅니다.
* 주의사항
접촉원으로 의심되는 물질을 간단한
패치 테스트(새끼 손톱 크기 정도의 양을 팔 안쪽에
발라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를
통해 본인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지 확인 후,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경우 그 접촉원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출처
- 도서
피부과학(현문사 / 김선미, 송인영, 양미경, 정지숙 공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1권(통계청 / 저자 통계청)
10년 젊어지는 얼굴피부 스트레칭(이지북 / 저자 우즈카 마코토 / 역자 신은정)
- 인터넷 검색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쿠키뉴스 뉴스기사
'피부 고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질환(skin diseases) - 주부습진(housewife's eczema) (0) | 2015.02.16 |
---|---|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 - 일차성 자극성 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 자극물 접촉 피부염, 자극성 접촉 피부염) (0) | 2015.02.16 |
피부질환(skin diseases) - 사마귀(wart, 우종) (0) | 2015.02.16 |
피부질환(skin diseases)- 알레르기(allergy) (0) | 2015.02.16 |
피부질환(skin diseases) - 두드러기(urticaria, hives, 심마진, 담마진) (0) | 201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