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부 고민

한선의 질환 - 땀띠 (miliaria, 한진, 한진성 습진)

한선의 질환 - 땀띠 (miliaria, 한진, 한진성 습진)

 

* 정의

땀이 배출되는 한관(땀관)이나 한관 구멍의

일부가 폐쇠되어 땀이 원활히 표피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면서 결국 한관이

터져 땀이 진피의 위층으로 흘러 나오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구분

 폐쇄된 땀관의 위치에 따라

수정 땀띠(miliaria crystallina, 수정양한진),

적색 땀띠(miliaria rubra, 홍색한진),

깊은 땀띠(miliaria profunda, 심재성한진)

구분합니다.

 보통 볼 수 있는 것은 표피에 땀이

괴어서 스며나온 적색 땀띠(miliaria rubra, 홍색한진),

그곳에 화농균이 감염하면

농포, 농가진, 한선농양, 화농성한선염을 일으킵니다.

 

- 수정 땀띠(miliaria crystallina, 수정양한진)

: 수정과 같이 맑은 물집이 땀띠처럼 생기는

피부명으로 피부의 각질층에 있는 땀관이

막혀 발생되며 오랫동안 침대에 누워지내는

사람이나 고열 환자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투명한 수포가 생기는 외에 가려움증은

동반하지 않습니다.

 

- 적색 땀띠(miliaria rubra, 홍색한진)

: 표피 내에 있는 땀관이 막혀 발생되는 것으로,

가장 흔한 땀띠 형태입니다. 작은 홍반성 발진의

중앙부에 점을 찍은 듯한 작은 물집이 발생한

것으로 가려움증이 동반됩니다.

 

- 깊은 땀띠(miliaria profunda, 심재성한진)

: 진피 상부에 있는 땀관이 막혀 발생되는

것으로 구진성 수포가 발생하며, 주로 가슴이나

몸통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주로 열대 지방에

사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하며, 홍색 한진이

자주 오랫동안 반복해서 나타나는 사람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 발병 위치

주로 얼굴, , 가슴, 겨드랑이에 발생하며,

복대나 벨트 등으로 마찰되는 부위나 겨드랑이,

팔다리를 굽힐 때 피부가 서로 닿아 스치는

부분 등에 발생합니다.

 

* 증상

- 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울 모양의 물집이

생기거나 붉은색의 작은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며, 가려울 수도 있고 따끔거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 발병 원인

 체온조절을 위해 발생하는 땀은 땀샘에서

만들어져서 한관(땀관)을 통하여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는데, 이 때 배출되는 통로인 한관이나

한관 구멍이 막히면 땀샘에 염증이 발생합니다.

 

- 외적 요인

: 습열, 자외선, 반창고 등에 의한 자극이나

비누의 과다사용, 세균감염 등으로 인해

한관이나 한관 구멍이 막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내적 요인

: 많은 양의 땀, 피지 생성 감소 등으로

인해 한관이나 한관 구멍이 막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 에크린샘에서 만들어진 땀이 땀구멍 또는

한관(땀관)의 폐쇄로 인하여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한관에 괴면 그 내압으로 한관벽이

터져서 표피나 진피 속으로 스며나오는데,

그 부분의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백혈구가

모이면 신경종말부가 자극을 받아 가려움증을

느끼거나 붉은 발진의 증상이 생기는 한진이

발생합니다.

 

- 연령이나 남녀에 관계없이 발생하지만

성인보다 소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이는

어린 아기들은 어른에 비해 땀샘의 밀도가

높고 표면적당 발한량이 2배 이상이며

한관의 발육과 기능이 완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보통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고 치유되지만,

깨끗하지 않은 손으로 긁는 경우 이차적으로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리법

-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사용하여 더 이상

땀이 나지 않도록 하거나 땀을 증발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환기가 잘 되도록 하여 시원한 환경을

만들어 땀띠를 예방합니다.

 

- 수돗물로 가볍게 자주 씻어 땀이나 더러운 때를

씻어내고, 의복은 완전히 벗는 것보다는 흡수성

직물의 옷을 한겹 정도 입거나 통풍이 잘 되는

의복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출처

- 도서

피부과학(현문사 / 김선미, 송인영, 양미경, 정지숙 공저)

- 인터넷 검색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네이버 두산백과

조세일보 가정의학백과

네이버 국어사전